저축성 변액보험 모집인이 알려주지 않는 3가지 정보

저축성 변액보험 가입 전 3가지를 확인하세요. "변액보험 가입하지 마세요"라고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이 사항들을 확인하지 않는다면 설계사가 안내하는 수익률 및 혜택은 절대 당신에게 오지 않습니다. 자필서명 전 3가지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하게 계약하세요. 




1. 펀드 운용사 확인

왜냐하면 수익을 내지 못하는 펀드 운용사를 죽이 되던 밥이 되던 가지고 같다면? 당신의 저축성 보험의 수익률이 좋을 수 있을까요? 펀드 운용사는 크게 2가지 중 하나입니다. 

  • 보험사 자회사 
  • 전문 투신운용사 

먼저 보험사의 자회사가 펀드를 운용하는 경우 펀드 수익률이 처참해도 교체 없이 그냥 갑니다. 자식 같은 자회사이니 죽이 되던 밥이 되던 함께 갑니다. 물어보지 않는 이상 설계자가 알려주는 않는 내용입니다. 

반면에, 전문 투신회사를 통해 펀드를 운용하는데 수익률 내지 못한다면? 투신회사 교체를 합니다.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한 결단과 조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2. 변액보험 사업비 비중 확인

저축성 변액보험은 타 보험상품 대비 사업비 비중이 높습니다. 하지만 높은 사업비 비중이 의미하는 바를 알고 저축성 변액보험을 가입하시는 분은 없습니다. 묻지 않는 이상 먼저 설명해주는 설계자(보험사)도 없습니다. 우선 사업비가 보험료의 얼마나 차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업비는 납입보험료의 10% 안팎

저축성 변액보험의 월 납입금액에서 사업비 비중은 9~10%입니다. 만약 당신의 월 보험료가 10만 원이라면 사업비는 1만 원 수준. 펀드 운용에 투자될 수 있는 적립금은 10만 원이 아닌 것입니다.  

펀드 운용 수익률이 좋다면 사업비는 상쇄될 수 있지만. 수익률이 좋지 못할 경우 눈에 거슬리게 되는 비용이 됩니다. 최소한 당신이 납입하는 보험료 전액이 펀드 운용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알고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3. 변액보험 2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저축성 변액보험의 수익적인 퍼포먼스의 시작은 10년 이후라고 말하곤 합니다. 복리와 수익률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10년 이후 가능한 2가지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1. 납입중지
  2. 추가납입

모든 저축성 변액보험 상품이 납입 중지 및 추가납입이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가입 전 아래 3가지 질문을 하셔야 합니다. 

  1. 납입중지 가능한 상품인가요?
  2. 추가납입 가능한 상품인가요?
  3. 추가납입의 사업비는 얼마인가요?

3가지가 모두 확인되었다면  10년이 되는해에 아래 사항을 신청해야 2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납입 중지 신청

납입 중지가 가능한 상품이였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납입 중지를 하세요. 물론 납입 중지 없이 기존에 납입을 유지하셔도 됩니다. 차이점을 확인하시고 결정하세요.
  • 보험료 납입하면 계약관리비용은 보험료의 3~4%
  • 보험료 납입하지 않으면 보험료의 1~2%

사업지에 포함된 계약관리비용 비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 납입 방식을 버려야 합니다. 납입 중단을 권고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납입 방식을 변경할 것입니다. 이제 보험사에 추가납입을 신청하세요. 


추가 납입 신청

저축성 변액보험의 납입 방식을 추가납입으로 변경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추가납입하는 비용에는 사업비가 빠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 10년 까지는 사업비 비중 10%
  • 10년 이후는 사업비 없거나 극히 적음

보험사가 굳이 추가납입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신청만 하면 조건 없이 사업비가 더 이상 빠지지 않는다면? 신청하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추가납입 한도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설명하면 당연히 추가납입을 선택하지 않을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추가납입 한도는?

2020년 4월 이후 추가납입 한도는 200%로 통일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상품에 따라 추가납입 한도가 적게는 100% 에서 많게는 300%인 상품들도 있었습니다. 



정리하면, 저축성 변액보험 가입 전 복리와 수익률까지 모두 잡고 싶다면 확인해야 할 것은 3가지. 
  1. 펀드 운용사가 보험사 자회사인가요?
  2. 납입 보험료의 사업비 비중이? (보통 9~10%)
  3. 납입중지, 추가납입 가능 상품인가요?


첫째, 펀드 운용사가 보험사의 자회사이면 거르세요. 둘째, 납입 보험료 전액이 펀드 운용에 들어가지는 않고 약 10% 정도는 사업비로 빠집니다. 셋째, 납입액은 같아도 사업비 0원으로 만들 수 있는 상품인지 납입 중지, 추가납입 가능한 상품인지. 추가 납입할 경우 사업비 비중을 물어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