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 보험금 청구하면 보험사가 부지급 통보하는 사유는 정해져 있습니다. 고정 레퍼토리가 있다는 것은 어쩌면 다행일지도 모릅니다. 해법을 안다면 말이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해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해법을 알려드리죠.
보험금 부지급 사유 3가지
- 사고와 추간판탈출증 인과관계 입증해.
- 주장하는 후유장해율 입증해.
- 사고 기여도 입증해.
보험사는 당신이 청구한 보험금을 지급 불가하다며 내놓는 답변은 정해져 있습니다.
왜그럴까요? 일반인이 이 3가지 중 하나를 제대로 입증을 하기란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입증하지 못할 것을 알기에 요구하는 것입니다.
입증이 불가한 것이냐구요? 아니요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를 고용해야 합니다.
전문가란 손해사정사, 법률사무소 등입니다.
비용을 들여 전문가 고용만 하면 해결 될까요? 아니요. 보험사는 전화 한 통이면
제대로된 손해사정사인지 파악 가능합니다.
제대로된 전문가라면 새로운 객관적인 자료(후유장해소견서 등)와 자신들이 받아낸
판결, 보험사 담당자에게 오히려 약관 해석을 잘못했다며 지적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대전제는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이어야 합니다. 수술
하지 않은 추간판탈출증을 후유장해보험금 받아낼 수 있다는 전문가를 거르세요.
추간판탈출증으로 후유장해 보험금 청구하는데 수술 여부가 문제 없다는 전문가도
거르세요.
내가 진짜 아프다고 소송제기하면 법원에서 당신을 가엽게 여겨 보험사에게 보험금
지급으로 판결할까요? 객관적인 장해 인정없이 제기하는 소송은 당신에게 '득'이
아닌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
소견서 안 써주던데?
당연합니다. 담당의사에게 도의적인 책임을 제외하고 입장을 바꿔 생각해
보세요.
당신이 어떤 환자를 수술헀습니다. 보험사에서 보험금 지급이 제한된다면
후유장해소견서를 요구합니다. 자신의 소견에 근거하여 후유장해소견서를
작성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이 환자는 자신이 가입한 5개 보험사에 제출한다면
보험사들이 누구를 가장 먼저 찾아 갈까요?
네. 후유장해소견서를 작성한 의사입니다. 의사는 치료하는 사람이지 보험사의
약관, 보험금 지급 기준 등의 요인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5개의 보험사에서 당신의
소견이 틀렸다며 수시로 번갈아가며 찾아와 해명을 요구합니다.
당신을 수술한 집도의나 재활치료 담당의사에게 소견서를 요청하여도 당신에게
유리하고, 보험사에게 불리한 후유장해소견서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는 크게 하지
마세요.
보험금 지급 거부하는 보험사 상대하는 법
당신이 만약 어떤 사고로 인해 추간판탈출증으로 수술을 요하는 상해가 발생하여
보험금을 청구하였는데 보험금 지급 거부하는 보험사는 이렇게 상대하셔야 합니다.
(꼭 추간판탈출증이 아니더라도 장해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어떤 상해에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사고와 인과관계 입증
추간판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는 사고였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사고 이후 당신이
느끼는 불편함과 고통을 보험사, 전문가, 법원 판사는 안타깝지만 1도 관심이
없습니다.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서만 당신의 권리를 주장해야 합니다.
둘쨰, 사고 기여도 입증
사고기여도가 확인되는 증빙자료 확보. 당신이 주장하는 추간판탈출증을 보험사가
인정 하기까지는 2가지 관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 퇴행성 추간판탈출증이야.
- 추간판탈충증은 맞는데 사고기여도는 없어
셋째, 전문가를 고용하세요.
안타깝지만 현실에서 사고로 인한 추간판탈출증으로 수술까지 했고
후유장해보험금으로 보험사오 분쟁이 발생되었다면, 전문가 고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위 2가지 입증을 직접 수술한 집도의 또는 재활치료 담당의사에게 요청해도
난색을 표하거나 회피합니다.
전문가(손해사정사, 변호사, 법률사무소 등)는 어떻게 보험사와 협의하여 당신에게
유리한 결과를 얻어낼까요? 제대로된 전문가는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